고체시(또는 ‘고시’라고도 한다)는 당나라 초기에 근체시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지어진 시체를 말한다. 고체시는 평측과 압운에 구애받지 않고, 시구(詩句)에 별 제한이 없으며(4구에서부터 그 이상인 것), 한 구의 자수도 4자, 5자, 7자로 된 것과 자수에 제한이 없어서 일정하지 않은 장단구(長短句) 등 다양하다.  
   
  4언시(四言詩) : 1구가 4자로 된 것
5언시(五言詩) : 1구가 5자로 된 것
7언시(七言詩) : 1구가 7자로 된 것
잡언시(雜言詩) : 각 구의 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것

 
  근체시(또는 ‘율시’라고도 한다.)는 고체시에 이어 당나라 때 발생한 시형으로 고체시보다 작품상의 규칙이 엄격한 시로 구수의 제약은 물론, 음수율과 글자 수의 제한, 음위율(音位律)인 압운법(押韻法), 음성율(音聲律)인 평측법(平仄法) 등이 일정하고, 또 대우의 구성 방식도 규칙성을 띤다.

⑴ 절구(絶句)
절구는 기구(起句), 승구(承句), 전구(轉句), 결구(結句)의 4구로 이루어지고, 한 구의 자수가 5자인 것을 5언 절구(五言絶句), 7자인 것을 7언 절구(七言絶句)라 한다.

⑵ 율시(律詩)
율시는 1·2구인 수련(首聯), 3·4구인 함련(頷聯), 5·6구인 경련(頸聯), 7·8구인 미련(尾聯)으로 구성되며, 1구의 자수가 5자인 것을 5언 율시(五言律詩), 7자인 것을 7언 율시(七言律詩)라 한다.

⑶ 배율(排律)
시구에 제한이 없는 10구 이상의 짝수 구로 된 긴 시를 배율(排律)이라 하는데, 1구가 5자인 것을 5언 배율(五言排律), 1구가 7자인 것을 7언 배율(七言排律)이라 한다.

 

 
  한자는 초·중·종성의 세 가지 소리로 나뉘는데,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한다. 이 운모가 같고 성조도 같은 계열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고 한다. 이 운자는 옛 운서에 따라 고음(古音)대로 쓰므로 현대음과 다른 것도 있다. 종성이 없는 것은 중성만 같으면 같은 운이 되며, 짝수 구 끝에 압운하고, 첫째 구 끝에는 압운을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중국어 음운 체계는 ‘사성(四聲)’이라고 일컬어지는 성조를 가지고 있다. 사성은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성조를 말하며, 상·거·입성을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한시에서는 낮고 평평한 소리인 평성에 해당하는 글자와, 올라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소리인 측성에 해당하는 글자를 일정하게 배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를 ‘평측법’이라 한다.
평측법 중 첫째 구 둘째 자가 평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평기식(平起式)’이라 하고, 측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측기식(仄起式)’이라 한다. 오언 근체시는 측기식이 정격(正格)이고, 칠언 근체시는 평기식이 정격이다. 절구에서의 평측법을 참고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대우(對偶)란, 율시에서 한 연의 상하구(上下句)가 서로 짝이 되게 하는 수사법(修辭法)을 말하는 것으로 대장법(對仗法)이라고도 한다. 절구(絶句)에서는 대우법을 쓰기도 하고 쓰지 않기도 하지만, 율시(律詩)에서는 함련(頷聯)과 경련(頸聯)은 반드시 대우로 구성해야 한다.  
   
  ┌─林亭秋已晩(숲 속 정자에 가을이 이미 늦어)
└─騷客意無窮(시인의 생각 끝없이 일어나네.)
┌─遠水 連 天碧(먼 물은 하늘에 닿을 듯 푸르고)

└─霜楓 向 日紅(서리맞은 단풍은 해를 향해 붉네.)
┌─山 吐 孤輪月(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하고)
↑ ↑
└─江 含 萬里風(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네.)
┌─塞鴻何處去(변방의 기러기는 어디로 가나?)
└─聲斷暮雲中(울음소리 저녁 구름 속으로 끊어지네.)

 
  ①기승전결(起承轉結)
한 수의 시상을 4단계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기(起)’에서 시상을 일으키고, ‘승(承)’에서 시상을 이어 받아 확대·발전시키며, ‘전(轉)’에서 시상에 변화를 주어 비약 또는 전환시켰다가, ‘결(結)’에서는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하는 방법이다. 절구는 한 구씩, 율시는 두 구씩 구성한다.
 
   
  雨歇長堤草色多(비 개인 긴 둑에 풀빛 짙은데)
送君南浦動悲歌(임 보내는 남포에는 슬픈 노래 울리네.)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 물은 언제 다하랴?)
別淚年年添綠波(이별의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에 보태어 지는데.)
(정지상 <送人>)

  ② 서경(敍景)과 서정(抒情)
한 편의 시의 시상을 전개할 때 주로 앞에서는 객관적인 사상(事象)이나 정경으로 도입·전개하고, 뒤에서는 주관적인 감상이나 정서를 표현하여 전환·총괄한다. 곧, 주로 앞에서는 서경(敍景)을, 뒤에서는 서정(抒情)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는 선경(先景)과 후정(後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차경기의(借景寄意)라고 한다.
 
   
  擊鼓催人命(북을 쳐서 사람의 목숨을 재촉하는데)
西風日欲斜(서쪽 바람에 해는 기울려고 하네.)
黃泉無一店(황천 가는 길엔 주막 하나 없으리니)
今夜宿誰家(오늘밤엔 누구의 집에서 잘꼬?)
(성삼문 <臨死賦絶命詩>)

 
  한시의 수사는 매우 다양하며 여기서 모두 다룰 수 없고, 위에서 다룬 대우법 외에 비유, 상징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비유(比喩)
비유란 어떤 사물이나 관념을 그것과 유사한 다른 사물이나 관념과 연결시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보다 생동감 있고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다. 비유는 두 사물의 유사점에 근거하여[유추(類推) 관계],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비유에는 직유, 은유, 풍유 등이 있다.

㉮ 직유(直喩)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사물을 직접 드러내어 비유함으로써 두 사물의 유사성을 부각시켜 원관념의 뜻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는 수사법으로, ‘如, 若, 猶, 似‘ 등이 쓰이는데, 음수율(音數律 : 자수 제한)로 인하여 생략되기도 한다.

 
   
  時春山氣佳(봄 되니 산 기운 아름답기도 한데)
谷鳥如喚客(골짜기의 새는 길손을 부르는 듯.)
(이제현 <朴淵>)

  ㉯ 은유(隱喩)
본뜻은 숨기고 비유하는 형상만 드러내어, 표현하는 대상을 설명하거나 그 특질을 묘사하는 표현 방법이다. 은유 역시 직유와 마찬가지로 동일성, 유사성의 원리에 의한 비유라는 점은 같으나 형식이 다르다. 직유가 ‘A like B'의 형식인데 비해서 은유는 ’A is B' 또는 ‘A = B'의 형식을 취하여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한시에서는 영어의 ’is'에 해당하는 계사(繫辭)인 ‘是, 爲’ 등이 대체로 잘 쓰이지 않으므로 ‘A = B'의 형식이 대부분이고 ’A'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萬尋澄澈靑銅鏡(만 길의 맑은 물은 청동 거울이요)
千尺逶池百玉虹(천 척의 구불구불한 물줄기는 백옥 무지개라.)
怪底古今流不盡(괴이하도다! 예나 지금이나 끊임없이 흐르니)
層岩直上是龍宮(층암을 바로 오르면 용궁이라오.)
(이제현의 <朴淵>))

  ㉰ 풍유(諷諭)
원관념[본의(本意)]을 숨기고 보조 관념(비유하는 말)만 드러내어 그 숨은 뜻을 넌지시 나타내는 수사법으로, 교화적이고 풍자적인 경우에 많이 쓰인다.
 
   
  當年叩馬敢言非(당년에 말고삐 잡고 감히 그른 것을 말하니)
大義堂堂日月輝(대의는 당당하게 일월처럼 빛나네.)
草木亦霑周雨露(초목도 역시 주나라의 우로에 젖었으니)
愧君猶食首陽薇(그대가 수양산의 고사리를 먹은 것조차 부끄러워하노라.)
(성삼문)

  ② 상징(象徵)
상징(symbol)이란, 추상적인 사물이나 개념에 대하여 그것을 상기시키거나 연상시키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감각적인 말로 바꾸어 표현하는 수사법이다. 은유가 상사성(相似性) 혹은 유사성(類似性)을 통한 결합이라고 한다면, 상징은 전혀 이질적인 두 사물, 곧 심상과 관념이 내면적인 유사성을 암시하거나 진술하는 표현 양식이다.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관계에서 보면, 원관념이 배제되고 보조 관념이 독립되어 함축적인 의미와 암시적 기능을 갖는다.
 
   
  群邪黜兮賢彙征(간사한 무리 축출하자 어진이 등용되고)
衆陰消兮世文明(뭇 음기 사라지니 세상이 문명하네.)
早晩春風遍四瀛(조만간 봄바람이 천하에 고루 퍼지면)
坐看萬物自生成(앉아서 만물이 절로 생성함을 보게 되리라.)
(이제현의 <冬至>)

  <자료출처 : 제7차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해설서>  



 
ȫҰ ̿ ȣå 񽺻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