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자어의 짜임’이란, 한자를 기본 단위로 하여 보다 큰 의미로 짜여진 형태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두 자 이상의 한자가 결합하여 한 단위의 의미체(意味體)를 형성하는 한자어를 이룰 때에는 반드시 기능상 관계를 가지게 된다. 한자어의 짜임을 문법적 기능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
|
주어와 서술어 관계로 짜여진 한자어로, 서술어는 행위,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고, 주어는 그 주체가 된다. ‘~가 ~함’, ‘~이 ~함’의 관계로 성립되기 때문에 주어를 먼저 새기고, 서술어는 나중에 새긴다. |
|
|
서술어와 목적어 관계로 짜여진 한자어로, 서술어는 행위나 동작을 나타내고,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된다. ‘~를 ~함’, ‘~을 ~함’의 관계로 성립되기 때문에 목적어를 먼저 새기고, 서술어를 나중에 새긴다. ‘술목 관계’의 한자어는 어순이 우리말과는 다르다. |
|
|
서술어와 보어 관계로 짜여진 한자어로, 서술어는 행위나 동작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도와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 준다. ‘~이(가) ~함’, ‘~에 ~함’의 관계로 성립되기 때문에 보어를 먼저 새기고, 서술어를 나중에 새긴다. 술보 관계의 한자어도 그 어순이 우리말과는 다르다. |
|
|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로 짜여진 것으로, 수식어에는 명사류를 수식하는 것과 동사류를 수식하는 것이 있다. |
|
|
靑山: 푸른 산(명사류를 수식)
必勝: 반드시 이김.(동사류를 수식) |
|
같은 성분의 한자끼리 나란히 병렬되어 짜여진 관계를 말한다. 이에는 서로 상대 되는 의미를 가진 한자가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경우와,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가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경우가 있다. |
|
|
興亡: 흥하고 망함.(서로 상대 되는 의미)
困難: 어려움(서로 비슷한 의미) |
|
자료출처 : 제7차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해설서』 |
|
|
|
|
|
|
|